과학적 소양의 차원영역, 하위영역
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Next Generation

[PA-SS] 안전사회 기여

운영자 | 입력 : 2020/12/15 [00:58]
구분 [PA-SS] 안전사회 기여
영역 설정의 취지 위험을 관리하여 안전한 생활과 사회를 구현하는 것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고 싶어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제조건이며, 오늘 날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‘삶의 질’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. 위험 관리는 생명을 보존하고 양질의 삶을 사는 데 반드시 필요하며, 과학적 소양인이 갖추 어야 할 소양 중 하나이다. 특히, 우리 사회의 곳곳에서는 자연적, 인공적으로 발생하는 위험이나 위기 상황에서 안전에 대한 부주의, 무관심, 불감증 등으로 각 종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. 미래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물질적 풍요를 지금보다도 더 누리겠지만 동시에 정보보안과 윤리 그리고 정보 격차 심화 등과 같 은 새로운 위험은 더욱 커질 것이다.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사고와 위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안전교육 역시 과학적 소양 교육에서 중시된다.
영역 해설 안전이란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를 말하고 안전한 상태란 위험 원인이 없는 상태 또는 위험 원인이 있더라도 인간이 위해를 받는 일이 없 도록 대책이 세워져 있고, 그런 사실이 확인된 상태를 뜻한다. 단지, 재해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안전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, 잠재 위험의 예측을 기초로 한 대책이 수립되어 있어야 안전이라고 할 수 있다. 인간은 생후 얼마 동안은 안전에 대한 능력이 매우 약한 존재이다. 신생아는 혼자 힘으로 먹을 수도 걸을 수도 없다. 시력이나 청력도 발달되어 있지 않아 인지 능력이 미약하다. 자립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생명을 유지하는 일도 불가능하다. 유아기에서 학령기를 지나는 동안 인간은 고도의 사회생활 능력을 습득하게 되며 특히 의식주를 중심으로 안전행동 관련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. 이렇듯, 성장 발달 및 생애주기에 따라 강조되어야 할 안전행동에는 차이가 있다. 유아기에는 가정교육, 청소년기에는 학교교육, 성인이 되면 직장의 안전 관리나 사회교육을 통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며 안전 지식이나 기술을 평생 지속적으로 습득할 수 있어야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. 위험 관리와 관련된 지식은 시행착오를 통하여서는 배울 수 없는 지식이다. 단 1회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서 생존과 사망을 결정지을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. 안전과 위험 대처에 대한 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에 그쳐서도 안 되며, 안전과 위험 대처에 관한 올바른 태도 및 습관을 갖도록 해야 한다. 재해·재난이 발생하는 과학적 원인을 알고, 재해·재난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한 생활, 그리고 미래 지능정보사회에서 발생 가능한 정보보안과 윤리 확보 및 정보 격차 해소에 과학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하여, 여러 가지 재해·재난과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대처 방법을 숙지하여 안전한 생활을 하도록 하 는 것이 필요하다.
하위 영역 및 해설 하위 영역 해설

[PA-SS.1] 안전교육 참여

안전에 관한 올바른 인식을 바탕으로, 안전사고의 원인과 예방 방법, 대처 방법 등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, 안전사고의 개념, 안전사고의 원인, 안전사고의 대처 방안 등을 포함한다.

[PA-SS.2]

재해·재난 위험 관리

재해와 재난의 원인 및 예방 방법, 대처 방법 등을 알고,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, 태풍, 지진, 홍수 등의 자연재해의 원인과 대책, 감염성 질병 확산의 원인과 대책 등을 포함한다.

[PA-SS.3]

사건·사고 위험 관리

인공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사건과 사고의 원인 및 예방 방법, 대처 방법 등을 알고,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, 일상 생활 탐구활동 등과 관련된 각종 사건·사고의 원인과 대책등을 포함한다.

[PA-SS.4] 지능정보사회 관련 위험 관리

지능정보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의 원인 및 예방 방법, 대처 방법 등을 알고,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, 정보 보 안 관련 위험의 원인과 예방법, 정보격차 해소 방안 등을 포함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