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과학교육 연구자
-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연구에서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, 단원 구성, 성취기준, 교수·학습방법 및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- 초·중등 학생의 과학적 역량 연구, 참여와 실천 연구, 학습내용 연구,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등 과학교육 관련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.
■ 학교 및 교사
- 과학교육표준(KSES)에 따른 단원 재구성, 교수·학습방법, 교육환경 구성, 교수·학습자료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● 탐구실험, 문제해결,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 등의 교수·학습 유형별로 실험, 조사, 발표, 학습, 협업, 창작 등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·학습자료 및 평가자료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● 논증 기반 활동, 모델링 기반 활동, 프로젝트 기반 활동, IT 기반 활동, 사회·윤리적 문제 기반 활동 등의 교수·학습자료 및 평가자료,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- 학생들의 역량, 지식, 참여와 실천에 대한 진단,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■ 학부모 및 학생
- 과학교육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과학지식, 역량, 참여와 실천의 도달점에 대한 정보, 자기 진단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■ 교육부 및 교육청
-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, 과학교육 정책 수립, 학교 현장 과학교육 진단과 점검, 교사 재교육과 교사연수, 학교환경 개선, 과학교육 관련 행정· 재정적 지원, 시범학교 지정 및 운영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■ 과학교육 유관기관
-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, 과학교육 평가, 과학교육 교수·학습자료 개발, 교사연수, 과학교육 정책 수립, 과학교육 현장실태 조사·분석, 과학교 육 행정·재정적 지원, 과학교육 지향점 제시 등에 활용할 수 있다.
■ 과학관, 수학문화관 등 체험관
- 체험관 및 전시관 기획, 디자인, 각종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내용 및 수준과 범위 등을 고려할 때 활용할 수 있다.
- 과학관 해설사, 박물관 해설사 등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.
■ 대학 및 연구소
- 대학 신입생의 과학적 소양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에서 초·중등 교육과 연계성을 고려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다.
■ 교과서 저자 및 출판사
- 과학 교과서 집필, 아동도서 집필 등에 역량, 지식, 참여와 실천의 수준과 범위를 고려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다.
■ 관련 분야 및 인문사회계 연구자
- 과학적 소양을 연계하고자 하는 수학, 정보, 기술, 공학 등에서 역량, 지식, 참여와 실천의 내용 및 수준과 범위를 고려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다.
- 인문사회 분야에서 학생들의 역량, 참여와 실천 등을 고려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다.